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학술논문작성법 강의노트

교육후기

by 이재성 2021. 1. 26. 01:13

본문

본 글은 KAIST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님의 『학술논문작성법』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강의 링크 : kaist.edwith.org/howtopaper

 

학술논문작성법 강좌소개 : edwith

논문을 쓰고 싶은데, 대체 어떻게 써야 할지 감조차 잡히지 않는 학생! 학술논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고민이 많은 공학, 이학계열 학생들을 위해 논문의 구조부터 서론, 요약, 결과... - KAIST 물

kaist.edwith.org


 

CHAPTER 1 : Why write a paper?

논문을 쓰는 궁극적인 이유는 과학 지식의 전파!

 

저널

 

    https://www.nature.com/ncomms/

    https://www.thomsonreuters.com/ 

 

The Peer Review Process

 

    피어 리뷰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 설명 : 

    http://cms.iopscience.org/cfeb2af4-c6a3-11e1-9609-4d5160a0f0b4/peer-review.html

 

    리뷰어는 누군지 절대 밝히지 않음

    에디터는 보통 그 분야의 대학교 교수 (시간이 많이 없어)

    그 분야의 박사학위를 받은 전문적으로 전담하는 에디터

 

The Peer Review Process

 

Nature 사이트

 

    ① Review

        많은 연구가 된 후에 그 분야에 뛰어드는 신규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기존 연구들을 잘 정리한 페이퍼

 

    ② Articles, Letters 

        두개는 비슷하나, Letter가 조금 더 짧은 글, Articles 본문이 좀 더 긴 글

 

Structure of a paper

 

    · Title : "What you have done"

    · Authors : "who did"

    · Abstract : summary

        ☞ 독립된 문장으로 되어야 함. (온라인에 게재되어 있고, 이것을 보고 읽을지 말지 결정하게 됨)

    · Introduction

    · Rsults & Discussion

    · Conclutions

    · Methods

        ☞ 논문의 주요 기법들에 대한 설명함

    · Acknowledgements : $$$, thank note

        ☞ 이 논문과 관련된 누구의 도움을 받았다. 예) 어디 과제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등..

    · References

 

 


 

CHAPTER 2 : Basic structure

논문의 기본적인 구조는 독자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tructure of a paper : story telling

 

    구조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어려울 수도, 쉬울 수도 있다.

 

결론을 제일 먼저 써라.

 

    ① 논문에서 결국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뭔지?

        ☞ 본문 중 [Conclusion] 문단이 아닌,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는 연구의 핵심

    ② 결론을 먼저 정하고, 논문을 작성하라.

    ③ 논문을 쓰다 보면 결론이 바뀔 수 있다.

 

결론: 핵심어 1 + 핵심어 2 + 핵심어 3

 

    결론이 나오면 제목이 정해짐

 

그다음, 결론에 가장 잘 도달하도록 논문의 구성을 짜라

 

    결론을 정해두고, 가장 쉽게 읽히도록 하는 게 중요함.

 

    · 이 방법의 원리가 어떤 것이냐면...

    · 그래서 실험 1을 해보았더니 결과 1일 나왔는데,

    · 이런 결과는 이런 의미라서 중요하고(논의 1)

 

    · 저런 때에도 되는지 보기 위해서 실험 2를 해보았다.

    · 결과 2가 나왔는데,

    · 이런 결과가 왜 말이 되느냐면, 이전 논문에 보면/이론적으로 계산해 보면/ 이런 검증을 해보면....

 

구성은 그림으로 짜라

 

    사람들은 제목 → abstract  그림 순으로 본다. 

    그래서 그림만 보고도 이해하게 되는 논문이 좋은 거다. 

    따라서 구성을 짤 때 그림으로 짜라. 

    중요한 것들 쉬운 것들을 앞에서부터 차근차근 설명한다. 

    세부적이고 복잡한 것들은 뒤에서 설명한다.

    연구를 a-b-c-d 로 했다고 해서, 논문을 a-b-c-d 로 작성해서는 좋지 않다.

 

    · 제목과 그림만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논문이 효과적

    · 그림 1 : 원리

    · 그림 2 : 결과 1

    · 그림 3 : 결과 2

 

 


 

CHAPTER 3 : Figures

논문에 사용할 그림을 작업하는 스킬을 설명

 

논문 그림 작업도

 

    MATLAB(그림, 그래프) & ORIGIN 8 (동영상) → 파워포인트 → 워드 or 포토샵

 

TIP.
  논문을 시작하면,  
  파워포인트에 그림 1, 그림 2, 그림 3 등 각각 한 개의 그림을 한 페이지로 만듦.
  수정되면 그림 1, 그림 1-1, 그림 1-2 등 새로운 페이지로 추가해서 관리함.

 

그림은 Vector format으로 붙여 넣기

 

    · MATLAB에서 복사해서, Enhansed Matefile로 붙여 넣기  

    <Vector format의 장점>

    · 레졸루션이 안 떨어짐.

    · Group을 ungroup을 하면, 수정이 가능함.

    · 그래프 위치나 크기를 바꾸면 조작이니 조심해야 함.

 

그림은 가능한 단순하게

 

    · 필요 없는 것들은 모두 삭제

    · 의미 없는 것들도 모두 삭제

 

중요한 그림은 크게

 

 

    · 그림 배치 순서 = 설명하는 순서

 

Publication team에 그림파일 제출 방법

 

    · 퍼블릭케이션 팀에 넘어가면 그림파일 제출 요청함.

    · PPT → TIFF 변경(비트맵 포맷) (포토샵가 유리)

    · AI, PDF format(벡터 포맷)은 AI(어도비,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비슷하게 작업 가능

 

    · 큰 사이즈로 만들어 저장하기

 

    · 재단 (끝에 빈 공간 제거)

 

    · 해상도 조정해서 이미지 크기 조정하기

 

    · 다른 이름으로 저장(LZW)

 

TIP. 멋진 그림들을 그린 논문들을 참고해서 벤치마킹하면서 노력해야 함. 

 


 

CHAPTER 4 : Results + Discussion

그림을 그리고 나서, 결론을 쓰는게 좋다.

 

그림이 완성되면 결과를 써라

 

    그림의 모든 결과를 (차근차근, 빠짐없이, 논리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림의 모든 내용들이 본문에서 모두 설명해야 한다.

 

한 문단은 하나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

 

    · 문단 1 : 핵심 아이디어는 OO 다.

    · 문단 2 : 실험적 구현을 위해 OO 장치를 고안했다.

    · 문단 3 : OO를 알아보기 위해 OO 실험을 수행했다.

    · 문단 4 : 결과는 OO 나왔는데, 이 의미는 OO 이다.

    · 문단 5 : OO 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어서 OO 실험을 했다.

    · 문단 6 : 결과는 OO 인데, 이 의미는 OO 이다.

    · 문단 7 : OO에도 적용되는지 보려고 OO 실험을 했다.

    · 문단 8 : OO 문제가 있을 수 있어 OO 실험을 했다.

 

TIP. 한 문단에는 한 주제만 다뤄야 한다. 그래야, 문단을 건너뛰면서 읽을 수 있다.

 

문단은 항상 두괄식으로

 

    · 중요도 순으로 핵심 문장이 가장 먼저 설명되어야 하고, 구체적인 이야기는 뒤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소제목 롯데마트 행복체

 

    · 문단 내 논리 흐름

      ① Narrative explanation -> ② Justification -> ③ Logical developments

 

    · 상세 설명

      ② Justification

        · Control 실험

        · 다른 방식 측정 결과 검증

        · 이론/numerical 결과로 정당화

        · 기존 문헌

 

      ③ Logical developments

        · 논문 conclusion과 연계

        · "indicate/show/present" (주장이 확실할 때는 쓰는 표현)

        · "suggest/imply"(주장에 대해서 여러 가능성 때문에 확신하지 못할 경우 쓰는 표현)

 

문단 간 논리적 연결

 

    결과 구조를 아래와 같은 순서로 배치해라

 

        · 중요한 결과 → 부차적인 결과

 

        · 단순한 결과 → 심화된 결과

 

        · 예상되는 결과 → 예상 어려운 결과

 

논의 : 결과 → 결과 논리 흐름

 

    독자의 입장에서 쉽게 읽혀야 하고 구조가 읽혀야 한다.

    어디까지가 결과고 어디부터가 디스커션이구나, 쉽게 알아야 하고 파악되어야 한다.

    이런 구성이 아래와 같은 1번안 이든 2번안이든 논의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면 된다. (뭐가 좋고 나쁘고는 아니다.)

 

    · 1번안

        · 결과 A + 논의 A'

        · 결과 B + 논의 B'

        · 결과 C + 논의 C'

 

    · 2번안

        · 결과 A

        · 결과 B

        · 결과 C

        · 논의 X

        · 논의 Y

        · 논의 Z

 

글은 현재형으로 쓸 것

 

    · 더 생동감 있게 읽힘

      ☞ 사람들이 현재형으로 쓰는 것을 선호, 생동감이 있음.

 

    · 과거형 : 논문 앞쪽에서 한 실험 등 언급할 때

 

    · 과거완료 : 기존 연구

 

논의에서 다룰 내용

 

이런 실험 결과들이 이런 결론으로 간다라는 것을 아무런 의구심 없이 이해되도록 써야 한다.

 

    · 이 연구가 왜 중요한 건지?

      ☞ 중요한 것을 드러내고 써라. 그래야 독자든 리뷰어든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다.

 

    · 새로 알게 된 것이 무엇인지?

      ☞ 중요한 것은 반복해서 써라

 

    · 이 결과가 어떤 의미인지?

 

    · 앞으로는 뭐가 가능해진다는 것인지?

 

    ·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지?

      ☞ 항상 약점이 있다. 솔직하고 명확하게 단점도 이야기해야 한다.

 

장점 강조는 구체적으로, 단점과 한계점도 명시

 

    · 리뷰어가 공격할 약점을 미리 언급하고

    · 대안/보충 설명을 보완

 

    무조건 장점을 먼저 쓰고, 이런 약점도 있는데, 대안을 언급해주는 것이 필요

    읽는 사람을 편하게 하고, 의구심들을 모두 해결해줘야 한다.

 

 

뭐가 새로운지 강조

 

    · 비슷해 보일 수 있는 기존 연구와 차이

 

관련 지식들이 없는 사람은 다른 연구에 비해 무엇이 나은지 알 수도 없고 알려면 찾아봐야 하는 수고스러움이 있다. 이런 수고스러움을 해소해주어야 한다. 예전에 봤던 이런 기술과 비슷한 거 아냐?라고 생각할 수 있다. fundamentally different ~~~

 

    · 기존 우리 연구에 비해 significant advance가 있다 강조

      우리가 연구실에서 기존에 연구했던 것이 OO이고, 이 것과 다른 것은 OO 이다. 뭐가 다르고 어떻게 다르고...

 

전망

 

    다음에 이어질 연구에 대해서 (언급) 이야기 해주어야 한다.

    미래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다고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다.

 

    우리가 만든 게 이런 건데, 어떤 관점에서 보면 어디서 사용할 수 있다.

    우리가 뭘 했기 때문에 어디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이용하면 특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먼 미래에서는 어떻게 될 수 있다.

 

TIPS

 

  ① 쉬운 단어로 쉽게 설명하라. 
       내가 아무리 쉽게 써도 상대방은 100% 이해 못함.  
       하지만 결과에 대한 해석과 논의는 깊고 치밀하게 

  ② 독자의 입장에서 고민하라.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아닌, 듣고 싶은 말(궁금해할)을 써라. 
       독자가 어디까지 알고 있을지, 어디까지 이해했을지 생각해라. 

  ③ 비중과 위치로 중요한 부분을 강조 
       마지막에 고민했던 사소한 점들을 너무 장황하게 쓰지 마라. 

  ④ 모든 결과를 논문에 다 넣을 필요 없다.  
       얼마나 고생했는지 논문에 표현하려 하지 마라.

 

    · 쉽게 써라.

      ☞ 어려운 단어, 복잡한 단어를 쓰지 마라.
      ☞ 쉬운 단어로 쉽게 설명하되, 사이언티피컬한 이야기는 깊이가 있어야 한다.

      ☞ 아무리 쉽게 써도 상대방은 어렵기 때문에 가능한 쉽게 써라.

   

    · 두괄식으로 써라.

 


 

CHAPTER 5 : Introduction + Abstract

 

 

서론은 논문의 예고편

 

    · What? (어떤 주제에 대해 연구해 봤는데,)

    · Why? (이연구가 왜 중요하나면,) 

              (지금 까지는 어디가지 알려졌는데...(선행연구))

    · HOW? (그래서 우리는 어떤 실험을 해보았다)

 

WHAT? WHY

 

    · [WHAT] 은 강렬하고 짧은 1-2문장으로 쓰는 것 추천

      예) KAIST와 관련된 미스터리 중에 하나는 교내에 서식중인 오리들이 왜 도로를 건너는가 이다.

 

    · [WHY]에서는 앞의 WHAT 문장을 자연히 이어받아

      구체적으로 자세히 풀어 써주면서, 왜 이 주제가 흥미로운지 논리적으로 확장한다.

      예) 매일 아침 9시경 오리들은 동측으로 길을 건너고, 오후 4시경 오리들은 서측으로 길을 건너는 것을 반복한다.

 

    · 이 연구의 의의가 중요한 의미가 될 수 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도 좋은 방법

      (왜 중요한지 자세히 써서 떠 먹여줘야 한다)

      예) 이 주제는 오리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조류들의 생태습성과도 밀접한 관린이 있을 뿐 아니라, 교통 안전과도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 남들이 모르는 /안 해 본 연구라는 것은 강력한 WHY가 될 수 있다.

      예) 하지만 연못으로 수영해서 갈 수 있는데, 왜 굳이 위험한 도로를 건너는지는 전혀 알려진바가 없다.

 

RREVIOUS WORK

 

    · 첫 문단에서 WHAT & WHY로 독자의 흥미를 이끈 후 

    · 다음 문단에서, 지금까지 알려진/연구된 소개

    · 지식 전달의 부분이나, 단순한 사실의 나열보다는, 이 연구가 왜 중요한지 계속 부각시키는 것에 집중

      예) KAIST 오리들이 수영으로 동/서측을 이동하는 주기성은 연구된 바 있으나(Ref. 1), 도로를 이동하는 주기성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연구는 전혀 시도된 바가 없다.

 

TIP.
 이 연구가 최초라는 것을 강조할 때 
  This is the first experimental study... 등의 확신적인 표현보다는 
  No experimental study has been reported to our best knowledge... 등의 완곡한 표현 추천

 

    · 기존 연구를 언급할 때, 중요한 것(직접 관련된 내용) 부터 이야기하고 덜 중요한 것(간접 관련된 내용)은 나중에 언급

      예) KAIST 오리의 예, 서울대 오리의 예, ... 미국 대학 오리의 예,... KAIST 고양이의 예

 

    · 기존 연구를 시간 순으로 언급할 때,

      예) Recently, ... More recently, ... . 하지만 수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KAIST 오리들이 왜 도로를 건너는지는 still remained unanswered.

 

    · 기존 연구들을 언급한 뒤, 다시 한번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좋은 방법

      예)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는 이유를 밝혀낸다면, 오리들의 하루 일과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아니라, 교태 교통 안전 시스템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HOW

 

    · 문단을 바꾸어서, 바로 논문의 핵심 방법론 기술

      예) Here, we present an experimental stud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느 패터과 이유, using GPS-equipped drones.

 

    · 그다음문장에서 구체적으로 실험 방법/내용들을 소개

      예) 6개월 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걸처, KAIST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는 패턴을 GPS가 장착된 드론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구체적으로) 이를 통해, 오리들의 도로 횡단은 주변 산책로에서 서식하는 고양이들의 행동 양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 (더 구체적으로) 고양이들이 오리 연못 근처로 이동하는 오전 9:30 +/- 15경에 오리들은 동측에서 횡단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고양이들이 산으로 올라가는 오후 4:30 +/- 15경 다시 서측으로 횡단하는 것을 확인했다. 

 

    · (결과들을 요약해서) 고양이들을 강제로 이주시킨 한 달간 오리들은 이러한 횡단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연못을 수영하지 않고 위험한 도로를 건너는 것은 위협을 느낀 상태에서 오리의 뇌에서 분비되는 kaitonin 호르몬의 분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 ABSTRACT는 intro를 한번 더 요약

       ☞ Copy-and-paste는 금물

 

    · 간략히 WHAT + (WHY) + HOW 또는, HOW만

 

    · ABSTRACT는 그 자체로써 독립된 글이 되어야 함

            c.f.) 약어를 초록에서 쓴는 경우 (abstract에서만 3-4번 약어를 썼을 경우만 약어를 쓴다.)

 


 

CHAPTER 6 : References

선행연구조사에 대한 방법론과 스킬을 설명

 

LITERATURE SEARCH : WHY

 

    논문을 쓸때, 논문 조사를 멈추면 안된다.

    왜 논문 조사를 해야 하는가?

 

    · NOVELTY : 기존 이론, 실험 결과 등을 파악해야 함

 

    · METHODS : 내가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 파악   

 

    · comparison: 내 결과가 타당한지 비교 검토

 

LITERATURE SEARCH : HOW

 

 

 

    · GOOGLE Scholar : https://scholar.google.co.kr/

        ☞ 강력한 구글의 검색엔진을 바탕으로 한 TOOL

 

    · WEB OF SCIENCE : webofknowledge.com

        ☞ 정보는 확실하지만, 업데이트 까지 시간이 걸리는 TOOL

 

    · PubMed(의학) : http://www.ncbi.nlm.nih.gov/pubmed

        ☞ 미국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의약/약학/생물 관련 논문 정리

 

Google scholar 사용법

 

  1. 가장 위에 제목

  2. 초록색은 저자들 + 년도와 저널

  3. 초록이 3줄 정도 표시

  4. Cited by =인용된 횟수

  5. 큰따옴표를누르면, 인용 정보 표시 (EndNote로 다운로드 가능)

 

    자신의 연구하는 논문들 간에 인용 관계들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아래 그림은  WEB OF SCIENCE에서 인용 논문들에 대한 맵임

 

Impact factor

 

    · 톰슨 로이터에서 제공하는 영향력 있는 수치

    · 많은 저널들 중 영향력있는 저널들의 수치를 제공하여, 기관들이 구독시 판단할 수 있게 함

      예) IF 32 : 최근 2년동안 Nature Photonics지에 실린 논문들이, 한편 당  32회 정도 인용을 당했다라는 수치임

 

Google scholar profile

 

    한 연구자가 계정을 만들어 놓으면, 자신의 논문이 정리되고 얼마나 인용되었는지 표시 해줌.

 

h-index

 

    · h-index 30 의미 : 해당 과학자는 최소 30번 이상 인용되는 논문들이, 최소 30개 있다.

 

Review journals

 

    그래서 많은 논문들을 review만 전문적으로 하는 저널들이 있음

    그 중에 ANNUAL REVIEWS가 가장 영향력이 높음

 

BIBLIOGRAPHY MANAGEMENT S/W

 

    BIBLIOGRAPHY MANAGEMENT S/W : 기존 선행연구 논문들을 인용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해주는 TOOL

 

 

ENDNOTE Citation 넣는 방법

 

    · EndNote X9 → Insert Citation → Insert  Citation : EndNote 논문을 검색해서 논문을 인용함

    · EndNote X9 → Insert Citation → Insert Selected Citation : EndNote 프로그램에서 선택되어 있는 논문이 인용됨

 

    · 인용 Style 지정

 


 

CHAPTER 7 : Proofreading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라.

 

    · 수정 과정에서 논문 구성을 바꾸는 것을 두려와 하지 마라.

      ☞ 리뷰하는주는 사람이 어렵다고 하면, 전체적인 구조나 내용을 재검토 해봐라.

 

    · 가능한 쉽게, 쉬운 단어로 써서 잘 읽히게 써라.

      ☞ 내용은 깊이 있게, 읽기는 쉽게 써라.

 

Check list : figures

 

    · Scale bar, Color bar & Units

 

    · 그림 속 약어들 모두 표현되었는지 확인

 

    · 그림 속에모든 용어는 본문에 나와야 함 

 

    · 그림 속 결과들 모두 본문에 있는지 확인

 

    · 본문에서 그림 호출(Fig. 1) 다음에 그림이 배치 되었는지 확인

 

    · 문장 시작할 떄는 Fig. 라는 축약표기 대신 Figure 라고 다 풀어쓰기

 

    · 문장을 시작할때는 축약이나 심볼로 시작하지 않는다.

 

    · 그림에서 subfigure가 (a)로 표기되면 본문에서도 Fig. 1(a)로 똑같이 표기

      ☞ "Fig.1 and 2 show" → "Figs. 1 and 2 show"

 

 

Check list : results

 

    · 결과로 확신할 수 있는 주장인지? 다른 가능성들은 없는지?

 

    ·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해라. 독자가 굼긍한것들, 논리적 비약이 없는지 확인. 

 

    · 실험에서 다른 논문의 기술, 방법론을 인용해서 했을 경우, 적어도 원리는 설명을 해주어야 한다.

 

    · 쉽게 설명이 되었는지?

 

    · 독자들을 편하게 해야 한다.

 

    · 논리적인 비약은 없는지?

 

 

Check list : TEXT

 

    · 약어 : 처음 사용시 정의하고, 그 이후는 통일성 있게 쓰기. Ctrl+F 활용해서 확인

 

    · 약어 : 3번 이상 사용하는 경우만 약어 사용

 

    · 약어 : 초록과본문은 별개의 문서 = 초록에서 약어 정의했어도 본문에서 사용한다면 다시 정의해야 함

 

    · 숫자 + 단위 사이에는 항상 space : 예외> 10%, 10℃

 

    · you should not start a sentence with a symbol.

 

 

하이픈 쓸 때 주의사항

 

    ·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일 경우에는 하이픈을 붙인다.

        ☞ "x-ray diffraction", "4-mm-long gas cell"

 

    · 명사 간에는 하이픈을 붙이지 않는다!

        ☞ "esmission by x rays", "was 4 mm in length"

 

 

Check list : Refs. etc.

 

    · 중복 사용된 참고문헌은 없는지

 

    · Issue#, Page#, 연도 등 확인 → Endnote가 완벽하지 않다.

 

    · Be professional (전문가 답게 보여지도록 노력해라):

        ☞ 3 um x 1um → 3 μm × 1 μm

 

    · Never use ambiguous expressions!

        절대적으로 학술 논문에는 애매한 표현을 하지마라.

        ☞ measured a log of  holograms →  measured 600 holograms

        ☞ has an enough power→ has a strong power(50 mW)

        ☞ measuerd ~ 10 cells → measured 13 cells

 

English usage

 

    · 단어 뜻 제대로 알고 사용

        ☞ Differents 다른 |  Various 다양한

        ☞ Concerns 걱정 | drawbacks 단점

 

    · Countable / uncountable

        ☞ countable : an algorithm, a technique, pathologies, reconstruction, implications, systmes, illuminations, a PBS solution, a process, introductions, descriptions, a mixture, properties, cells

 

        ☞ uncountable : reconstruction(뜻이나 용법이 다르기 때문에), diffraction optical tomograhpy, information, diagnosis, treatment, promise, molecular content

 

English usage : 전치사

 

    · By는 좋은 표현 아님 : 구체적으로 Using or via로 바꿀 것

 

    · Common mistakes

        · At Fourier space (X) | in Fourier space(O)

 

        · Study of human hairs(X) | Study on human hairs(O)

 

        · Findings of human hairs(X) | Findings on human hairs(O)

 

        · Effects of A to B (X) | Effects of A on B(O)

 

        · Most of  bacterial species(X) | most bacterial spices(O)

 

        · Becomes problems(X) | Pose problem(O)

 

        · Requres using of ...(X) | Requires the use of ...(O)

 

        · The both A and B(X) | both the A and B(O)

 

        · Discuss about the implications(X) | Discuss the implications(O)

 

        · in a large scale(X) | at a large scale(O)

 

        · is in the order of 10(X) | is on the order of 10(O)

 

        · 4~10 times(X) | 4 to 10 times(O)

 

        · 1.39 ~ 1.4(X) | 1.39–1.4(O) (참고 : LINK)

 

        · limited number of wavelength(X) | a limited number of wavelengths(O)

 

        · Especially,...(X)| in particular, ...(O) (특별히 ~~ 하다)

 

        · Access information about the ...(X) |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 ...(O)

 

        · indicated with the arrowhead(X) | indicated by the arrowhead(O)

 

        · 6 orders of magnitued(X) | six orders of magnitued(O)

 

        · With the SML algorithm(X) | using the SML algorithm(O)

 

        · Enables us parallel investigations → enables parallel investigation (O)

 

Stronger expressions

 

    문법적으로 틀리지 않지만, 보통 오른쪽 것으로 수정함

 

    · Mainly → primary

 

    · is shown → in presneted

 

    ·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 Since(이유) → because(이유)

 

    · Beacuse of → due to, resulting from, as a result of (formal)

 

    · Allows us to investigate → Enables th investigation

 

    · Study → Investigate

 

    · Play a central role (informal) → has a central fuction (formal)

 

    · serious limitation(부정적 표현) → significant limitation

 

    · enough → sufficient

 

    · is performed → is conducted

 

    · to check → to verify

 

    · technical point of view → technical perspective

 

TIP. 다른 논문에 대한 표현은 부정적 표현은 지양할 것


 

CHAPTER 8 : Revision + Appeal

논문 제출시 유의사항과, 제출 시 받는 평가보고서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해야할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Authorship

 

    · 제1저자, 2 저자 등을 정하는 과정임

    · Authorship은 지도교수의 고유권한임

    · 보통 제1 저자가 대부분의 일을 하며, 마지막의 교신저자는 지도교수

 

CoverLetter

 

    · 커버레터를 요구하는 저널들이 있음. 

    · 논문이 많이 몰리는 저널들의 경우, 에디터가 빨리 판단하기 위하여 에디터에게 요약서를 제출

    · Introduction을 많이 축약해서 정리하는 것

 

CoverLetter 포함 사항

 

    · WHAT + WHY : 뭘 했는데, 이게 왜 중요한다.

    · WHAT : 너희 저널의 scope에 맞는다.

    · WHY :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속히) 출판할 가치가 있다.

    · Reviewer suggestion : 심사위원으로 누구를 추천하는지 쓸 수 있다.

                                   좋은 리뷰어를 추천하면 에디터들이 많이 따름(바쁘기 때문)

                                   나와 관련있는 사람이나 친한사람을 쓰면 신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동일한 연구를 하는 사람은 제외 요청, 나와 공동 연구하는 사람도 제외 요청

 

TIP. 그 분야의 가장 저명한 사람을 지정해서 쓰는 것을 추천.

 

Editor는 다음 기준으로 Reviwer 선정 기준

 

    · 그 분야의 전문가

    · Reference의 저자들에게 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그래서 Reviewer로 추천)

    · 논문 저자가 제안한 사람들

 

First Decision

 

    결과는 아래와 같이 5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 Accept( as it is ) : 수정없이 게재해라 - 이런 일은 거의 없음

    · Accept( with minor revision ) : 마이너한 것들만 고치면 바로 게재해주겠다. 리뷰어들에게 다시 안감

    · Revision( minor ) : 많은 경우에 해당

    · Revision( major )

    · Reject

 

Rebuttal letter

 

    Rebuttal letter는 리뷰어들이 준 코멘트에 대해, comment by comment로 response를 작성하는 것이다.

    리뷰어들의 코멘트는 하나도 빠트리지말고 하나 하나 답변을 한다.

    어떤 것이 아쉽다고 제시하면, 그 해당사항에 대해서 더 실험을 했다고 답변해준다.

    그 과정은 what- why- how 순으로 해준다.

 

    유의 사항

 

    · 성실하고 겸손하게 답변할 것

        ☞ 리뷰어들이 모른다고 무시하지 말고, 틀린 질문을 하더라도 친절하게 설명

 

    · 결론 문장부터 쓰고, 자세히 풀어 쓸 

 

    · Rebuttal letter는 자세히 쓰되, 본문 수정은 최소화 할 

        ☞ 본문은 에디터가 보기 때문에 수정이 많이 될수록 안좋은 인상을 남김

 

    · 하라고 제인한 것은 반드시 할 것

 

    · Ref suggestion은 반드시 할 것

 

    · 다른 리뷰어의 커멘트를 활용하여 답변할 것

 

    · 기존 연구 결과를 언급하면 답변시 설득이 쉬움

        ☞ 기존 연구에 의하면... 으로 논리를 세워서 답변하면 설득이 쉬움

 

 

TIPS
· 에디터에게 handling(검토)해줘서 고맙다는 표현 쓰기 
 · refree comment는 검은색 / 우리의 답변은 파란색 / 본문의 수정사항은 하이라이트로 표시 
 · 중요한 핵심 쟁점은 다시 요약. 즉, 중요한 문제는 뭐였고, 우리는 실험을 통해 다 해소하였다. 
 · 빨리 accept 해달라는 표현을 간곡히 쓴다. 

 

TIP.
 · 리뷰어들이 어떤 표현에 대해서 수정을 요구할 때, 그 내용이 타당하다면, 
 · '당신이 맞다고' 하며, 이러 이러한 관점에서 맞는 것 같으니, 우리는 이렇게 고쳤다고 말함 
 · 리뷰어들이 어떤 것을 제안한다면, 또 agree 한다고 하며 따름

 

TIP. 
 · 만약 리뷰어들이 잘못된 지적을 한다면, 정중하게 거절해야 함 
   예 ) we kindly defuse ~ concern의 형태로, 
 · 당신이 지적한 사항은 어디에 해당하는 사항이며 우리의 연구는 다른 상황이라 적용범위가 다르다.라는 식으로 친절히 답변한다. 
  ☞ 이것은 에디터도 같이 보라는 의미임

 


 

마지막으로 좋은 강의해주신 박용근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